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곤충의 주광성

by 캐더릭12222 2022. 11. 18.
반응형

1.곤충의 주광성

곤충 중에서는 빛 쪽으로 가는 성질을 지는 곤충과 빛에서 멀어지는 성질을 지닌 곤충이 있다. 빛 쪽으로 가는 성질을 양주광성이라하고, 반대로 빛에서 멀어지는 성질을 음주광성이라고 한다. 곤충의 주광성과 겹눈의 구조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겹눈은 곤추으이 성충과 불완전변태를 하는 약충들의 기본 시각수용기이며, 머리 양쪽에 쌍을 이루고 있는데 , 돌집적인 시각단위인 다양한 수의  낱눈들이 결합되어 있다. 낮에 활동하는 곤충들의 겹눈은 연립상 겹눈이고 밤에 활동하는 곤충들의 겹눈은 중복상 겹눈이라고 한다.,

연립상 겹눈의 가장 바깥 부분은 변형된 표피세포인 각막세포 2개로 만들어진 각막렌즈로 되어 있고, 섹소세포로 둘러싸여 있는 수정체와 연결되어 있다. 각막렌즈와 수정체는 낱눈의 수용체에 빛을 모아주는 역할을 하며 색소세포와 분리되어 있다.

잠자리 날개 사진

1-1 광순응

광순응계인 주간활동서으이 곤충은 다양한 가시광선에 반응한다. 온실가루이 집파리류 오이과실파리 유시 진딧물류 벼멸구류 등은 주 파장이 5,740 전후의 황색계통의 색조에 반응하여 날아가고 오이총채벌레와 대만총채벌레는 청색계통의 색조에 반응한다. 한편 암순ㅁ응계를 가진 야간활동성 곤충은 주간의 명조건에서는 복안의 색소가 안쪽으로 이동허기 때문에 보행과 비행운동에 관련되 근육활동이 억제되어 활동하지 못하고 정지되어 있고 구기운동도 마찬가지로 억제되어 섭하고 주광성도 발현할 수 있기 때문에 나방이다 딱정벌레는 광원을 향하여 날아간다. 그러나 날아가서 강한 빛에 노출되는 동안 복안의  색소가 명적응상태로 바뀌어 운동근육이 모두 비활동상태가 되어 정지되고 구기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2. 곤충의 광주기선

곤충에는 주기적으로 오는 계절의 변화를 예지하여 성장이나 활동을 저이하는 특수한 생리기작을 가진 것이 많다. 이러한 발육의 정지를 휴명이라고 한다. 고위도 지방에서 사는 연 1세대 곤충의 대부분이 특정 시기에 휴면에 들어간다. 이것을 자연적 휴면 또는 내인성 휴면이라고 한다. 내인성 휴면은 휴면 자체가 생활사의 완성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휴면타파의 조건이 맞지 않을 경우 죽어 버리는 경우도 많다.

한편, 연 2세대 또는 여러 세대 발생하는 곤충에서는 전혀 휴면하지 않는 종을 제외하면 특정 환경 조건에서 발육한 세대만 휴면한다. 이것을 다발적 휴면 또는 외인성 휴면이라고 한다. 외인성 휴면은 휴면을 거치지 않아도 생활사를 완성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 요인이 직접적인 휴면 유기의 원인이 된다

3. 휴면유기

곤충은 어느 시기에 예측한 꼐절 정보에 따라 어는 발육단계에 도달하였을 때 발육을 계속할 것인지 휴면에 들어갈 것인지를 결정하다. 따라서 휴면하는 발육단계를 결정하는 것은 이전의 발육단계에서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배추흰나비 호랑나비 미국흰불나방 등은 번데기가 휴면기인데 그 직전의 유충발육기의 광주조건에 의하여 결정된다. 전반적으로 광주기조건에 대하여 감수성이 큰 발육단계는 유충기이다

 

곤충온도의 적응

https://dlalsgh8527.tistory.com/entry/%EA%B3%A4%EC%B6%A9%EC%9D%98-%EC%98%A8%EB%8F%84%EC%A0%81%EC%9D%91

 

곤충의 온도적응

1.선호온도 활동하고 있는 곤충에 대하여 몇 가지 범위의 온도환경을 만들어 놓으면 배회하다가 나중에 어느 온도벙위에서 정지하는데 이 온도가 확실히 곤충이 선택한 것이면 선호 온도가 되

dlalsgh8527.tistory.com

지온적응

https://dlalsgh8527.tistory.com/entry/%EC%A7%80%EC%98%A8-%EC%A0%81%EC%9D%91

 

지온 적응

1 지온적응 저온은 토지의 열용량이나 비열 열의 전도 등에 따른 수열량과 방열량의 차이에 의하여 정해진다. 얕은 곳에서는 1일 일사량과 기온에 의하여 직접 영향을 받는데, 그 한도는 지표면

dlalsgh8527.tistory.com

적응도

https://dlalsgh8527.tistory.com/entry/%EC%A0%81%EC%9D%91%EB%8F%84

 

적응도

1.직접적응 직접적응은 환경과 생물의 구조나 기능이 직접적으로 대응하여 생존에 의미를 지니는 적응으로, 물속을 헤엄치는 어류의 체형이 방추형으로 물의 저항을 줄이게 되어 있는 것이나

dlalsgh8527.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