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휴면타파

by 캐더릭12222 2022. 11. 19.
반응형

1.휴면타파

휴면타파란 휴면상태가 꺠어지는 현상으로서 일시적으로 정지되었던 생육이 여러가지 휴면요인이 제거되면서 다시 생육이 시작되는 현상을 말한다. 자연상태에서는 일장조건 강우 온도 등의 변화에 따라 곤충이 자극을 받아 휴면이 타파도니다. 휴면을 야기하고 그것이 일정 기간 휴지된느 것을 휴면유지라고 하고, 타파까지 도달하는 과정을 휴면발육이라고 한다. 

겨울휴면의 타파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겨울기간의 저온이 일반적이지만 조명나방은 장일조건으로 휴면이 타파된다. 여름휴면을 타파하기 위해서는 기온이 낮어져야 하고  일장이 짧아져야 한다.

번데기로 여름휴면을 하는 알락나방의 번데기기간은 고온 장일조건에서는 5.5개월이 걸리지만 중온 장일조건에서는 3/2 정도로 줄어든다. 알락나방 번데기의 여름휴면을 단축시키는 주된 요인은 단일조건이며 온도는 일장효과에 부수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번데기는 여름부터 가을을 향해 점점 채워져 가는 장일에 반응하며 휴면발육이 빨라진다. 이것은 장일에 대한 양적 반응이라고 한다.

물방울 튀기는 사진

2.휴면 메커니즘

곤충의 발육조절은 뇌호르면 전흉샘호르몬 알라타체호르몬 등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유충의 탈피는 전흉샘호르몬과 알라타체호르몬의 협동작용으로 일어난다. 융화와 우화는 전흉샘호르몬의 작용에 의하려 일어나고 알라타체호르몬에 의하여 억제된다. 휴면은 환경신호에 의하여 유발되지만 호르몬에 의하여 억제된다. 휴면은 환경신호에 의하여 유발되지만 호르몬들에 의하여 조절된다. 배자의 휴면은 탈피호르몬의 농도가 높어져 일어나거나 어미가 생성하는 휴면호르몬에 의하여 유기된다. 유충의 휴면은 알라타체호르몬이 결핍으로 일어나며 성충의 휴면은 뇌 알라타체계의 불활성화로 일어난다.

 누애의 휴면호르몬은 여름 중반에 암컷 성충이 장일조건에 놓이면 생성되는데 성충은 이를 알 안으로 주입한다. 휴면호르몬은 난소 안에서 트레할라아제의 생성을 자극하여 발육 중인 난소에서 그릴코겐의 축적을 조절하고 휴면 중인 알에서는 소비톨과 그리세롤이 증가함과 동시에 글리코겐의 농도가 감소된다. 배자 휴면의 종료는 긴 저온처리기간의 자극이 필요하고, 소비톨과 글리세롤이 글리코겐으로 전환되며 글리코겐은 발육 저해를 해제하고 휴면 후 발육과 부화를 위한 에너자원이 된다. 유충과 번데기의 휴면에는 액디손이 일반적으로 관여하며 성충은 유약호르몬이 없는 상태에서 생식휴면을 한다.

3.곤충과 물

물은 생물체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생물체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곤충의 몸을 구성하는 데 다량의 물이 필요한데, 곤중의 종류나 충태에 따로 조성량에 따라 차이가 있다. 즉 곤충 몸의 수분함량은 보통 70% 정도이지만 적은 것은 50% 만은 것은 90% 이상이다. 충태별로는 애풀뎅이의 경우 수분함량이 유충은 78~81% 번데기는 74%~ 성충은 66%이다

한편 물은 생물체의 향상성 유지와 각종 생체의 대사활동에 근간이 되는 물질로서 부족하거나 과다하면 생물학적 기능이 상실된다. 흰개미 몸의 수분함량은 보통 74~80%이고 수분함량이 68% 이하가 되면 죽는다. 바퀴벌레의 일종은 체중의 30~40%의 수분을 잃으면 죽고 대부분의 곤층은 체중의 20% 이상 수분을 잃으면 죽는다.

 

 

곤충의 주광성

https://dlalsgh8527.tistory.com/entry/%EA%B3%A4%EC%B6%A9%EC%9D%98-%EC%A3%BC%EA%B4%91%EC%84%B1

 

곤충의 주광성

1.곤충의 주광성 곤충 중에서는 빛 쪽으로 가는 성질을 지는 곤충과 빛에서 멀어지는 성질을 지닌 곤충이 있다. 빛 쪽으로 가는 성질을 양주광성이라하고, 반대로 빛에서 멀어지는 성질을 음주

dlalsgh8527.tistory.com

생타학의 대상범위와 연구방법

https://dlalsgh8527.tistory.com/entry/%EC%83%9D%ED%83%9C%ED%95%99%EC%9D%98-%EB%8C%80%EC%83%81%EB%B2%94%EC%9C%84%EC%99%80-%EC%97%B0%EA%B5%AC%EB%B0%A9%EB%B2%95

 

생태학의 대상범위와 연구방법

1. 생태학의 대상 구분 생태학은 생물학의 한 분과이지만, 연구 분야는 다양한 내용과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분류의 기준에 따라 세분해 보면 다음과 같다. 1-1 생물학적 스펙트럼에 따른 분류

dlalsgh8527.tistory.com

적응도

https://dlalsgh8527.tistory.com/entry/%EC%A0%81%EC%9D%91%EB%8F%84

 

적응도

1.직접적응 직접적응은 환경과 생물의 구조나 기능이 직접적으로 대응하여 생존에 의미를 지니는 적응으로, 물속을 헤엄치는 어류의 체형이 방추형으로 물의 저항을 줄이게 되어 있는 것이나

dlalsgh8527.tistory.com

 

댓글